이미주가 “진짜 레전드”라고 감탄한 김밥튀김. 방송에 등장한 떡볶이집은 방촌시장에서 40년 넘게 영업한 곳으로 혜자로운 가격대로 메뉴판만 읽어도 행복해진다. 떡볶이 2천원, 납작만두 2천원, 김밥 2줄에 4천원(1줄은 2천원)… 달달한 옛날 떡볶이는 무엇이든 국물에 찍어먹고 싶게 만드는데, 대표 메뉴인 김밥튀김은 한계에 이른 소식좌의 뱃길도 다시 열리게 만든다.
육수를 내려고 넣던 콩나물을 손님들한테 조금씩 덜어주던 것이 어느 순간 메뉴의 특징이 된 콩나물어묵. 방송에서 멤버들이 매워 하는 모습을 보고 너무 겁 먹지 말자. 이곳은 원래 나뭇잎 모양 손만두로 유명한 곳. 구운 만두와 함께 먹으면 매운 맛도 중화되고, 배도 든든해진다.
추억의 군것질 과자 쫀드기를 튀겨 설탕과 라면수프를 묻히면 뿌링클 스타일의 ‘쫀드기’, 같은 쫀드기를 더 오랜 시간 튀겨 바삭하게 만든 게 ‘딱딱이’다. 어묵을 튀겨 다양한 소스를 발라먹는 디스코 어묵까지 하나같이 맥주를 부르는 맛이지만 아쉽게도 맥주는 팔지 않으니 포장을 추천한다.
라면 수프를 탄 물에 라면을 말아먹는 것이란 설명만 들으면 별로 기대가 되지 않는 물라면. 하지만 울산 초등학생들은 하루가 멀다 하고 사먹는 간식이다. 면을 삶아 찬물에 헹군 다음 파뿌리를 우린 육수를 부어 먹으면 라면에서 부담스러운 맛은 쏙 빠지고, 의외로 칼칼한 컵라면 완성. 5백원, 1천원이란 부담 없는 가격에 후루룩 들어간다.
「 전주 비빔밥 크로켓_교동고로케 /
비빔밥 와플_두이모 비빔밥와플
」 전주 하면 비빔밥, 비빔밥 하면 크로켓? 와플? 한옥마을에 가면 비빔밥을 품은 크로켓을 먹을 수 있고, 자만벽화마을에 가면 와플로도 즐길 수 있다. 특히 고기와 샐러드를 와플기에 누른 누룽지와 먹는 비빔밥 와플은 이이경이 “삼두 쪽에 소름이 돋는다” 극찬했고, 신봉선은 “철판 볶음밥의 맛을 담고 있다” 했으니 기대해도 좋을 듯하다.
투다*에 가면 먹을 수 있는 그 염통꼬치 맞다. 염통꼬치가 전주만의 간식은 아니지만, 전주 토박이들은 만남의 광장인 객사에 가면 염통꼬치를 먹는 게 코스였다고 한다. 1998년부터 영업을 이어온 이곳에 가면 닭꼬치는 서브, 염통꼬치가 메인이다. 맛은 소금구이, 바비큐, 매운 맛 3가지. 4꼬치에 2천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