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은 배변 활동을 컨트롤한다. 때문에 보통 배변 활동의 이상이 대장암의 초기 증상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배변 활동 뿐 아니라 방귀 냄새 역시 대장암을 알리는 신호 중 하나라는 의견이 있다. 보통 방귀 냄새는 섭취한 음식에 따라 냄새가 독해질 수 있는데 일부 지독한 냄새는 건강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많은 전문가의 의견. 유병욱 가정의학과 전문의가 TV조선 ‘내 몸 플러스’에 나와 이야기한 것에 따르면 “썩은 달걀과 양파와 같은 냄새가 나는 것은 대장 건강의 적신호가 켜진 것”이라며 “방귀 냄새가 이 정도로 지독하다는 것은 대장 조직의 부패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의심이 된다면 병원에 가서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꼭 대장암이 아니더라도 각종 대장질환의 지독한 방귀냄새는 각종 질환을 알리는 시그널일 수 있다. 대장에 세균이 많으면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이 만들어져 악취가 날 수 있기 때문.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서부지부의 발표에 따르면 잦거나 냄새가 심한 방귀와 함께 복통, 식용부진, 체중감소, 배변습관의 변화, 혈변 등의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면 대장 질환의 신호음일 수 있다고 말한다. 이런 증상이 함께 나타나면 대장 내시경을 포함한 소화기 계통의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는 것.
중국의 한 매체 ‘토우탸오(toutiao)’의 보도에 따르면 24살 여성 샤오 메이는 이틀 동안 방귀가 나오지 않고 위장 통증을 느꼈다. 그리고 이틀 만에 나온 방귀에서 지나치게 지독한 냄새가 나기 시작한 걸 깨닫고 병원을 방문해서 위암 판정을 받았다. 전문가들이 지속적으로 냄새가 고약한 방귀가 나오면 병원을 찾으라고 권장하는 이유. 장내 종양을 의심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장에 종양이 있으면 대사 작용이 떨어지고 체내 독소가 쌓여 방귀 냄새를 독하게 만들기 때문.
현대인이 흔히 앓는 병 중 하나인 과민성대장증후군. 과민성대장증후군의 대표적 증상은 잦은 방귀나, 설사, 복부팽만 등. 배에 가스가 차면서 복부팽만감을 느끼며 고약한 냄새의 방귀를 자꾸 뀌게 되는 거다. 실제로 잦고 냄새나는 방귀로 불편함을 느끼다 과민성대장증후군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정보분석에 따르면 매년 150만명 이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으로 진단받고 병원을 찾는다고.
기본적으로 양배추나 콩처럼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나 지방이나 단백질이 포함된 음식을 먹으면 방귀 냄새가 독해질 수 있다. 이는 문제가 아니지만 과식의 경우 다르다. 과식은 위장에 부담을 주고 소화를 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 복부팽만을 유발할 수 있다. 과식 또는 소화불량으로 인해 소화가 잘 되지 않거나 항문에 가까운 직장에 대변이 차 있는 상태에서도 방귀 냄새가 고약해질 수 있다. 이럴 땐 방귀 냄새 자체로 병을 판단하기 보단 증상이 심하거나 소화기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