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패션 컬렉티브(GFC) 뉴욕, 파리 FW25 시즌 런웨이 하이라이트
신진 디자이너들의 무대, GFC가 2025 F/W 시즌 뉴욕과 파리에서 패션의 새로운 판타지를 펼쳤다.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전 세계를 무대로 패션 판타지를 위해 모이고, 유망한 디자이너들의 세계 무대 진출을 돕기 위해 설립된 글로벌 패션 컬렉티브(이하 GFC). 신진 디자이너들의 꿈과 열정이 가득한 GFC가 뉴욕과 파리에서 또 다시 이들의 꿈을 응원한다. 신선함을 불러일으킬 런웨이로 가득했던 2025 F/W GFC 뉴욕과 파리 패션위크의 면면.




유니섹스 브랜드 VI E DIT가 뉴욕 패션 위크에서 첫 번째 컬렉션을 공개했다. 온라인을 기반으로 성장한 브랜드가 글로벌 무대에 등장한 혁신적 사례로, 이번 데뷔는 ‘PLAYBOY’ 컬렉션을 통해 브랜드만의 예술적 비전과 문화적 기억을 감각적으로 풀어냈다. 'URBAN GRUNGE'를 테마로 한 컬렉션은 그런지의 거친 매력에 동시대적인 페미닌 디테일을 결합해 도시적이면서도 자유로운 분위기의 스타일을 완성했다. VI E DIT의 이번 행보는 일본식 하이브리드 미학의 새로운 해석이자 디지털 시대 디자이너가 보여줄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기회였다.




최신 컬렉션 ‘I Bloom’을 통해 자신감과 올바른 방향으로의 성장, 그리고 새로운 자아와의 만남이라는 브랜드의 핵심 메시지를 제대로 구현했다. 이번 컬렉션은 브랜드 론칭 이후 지속적으로 사랑받아온 아이코닉한 텍스쳐를 바탕으로 여성스러운 무드를 섬세하게 풀어냈다. 워크웨어 감성의 체크 및 깅엄 패턴, 러플 장식의 이브닝 웨어, 블레이저와 풍성한 튤 스커트를 믹스 매치한 스타일 등 다양한 실루엣은 트위드의 클래식한 매력을 현대적인 시선으로 재해석한 결과물. 한 송이 꽃처럼 피어나는 여성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며, 패션을 통해 내면의 자존감을 더욱 확장한다.




Kehang의 새 컬렉션은 린넨, 면, 가죽, 실리콘 등 비정형 소재를 자유로이 구성해 질감과 구조의 대비를 섬세하게 드러내 눈길을 끈다. 이번 시즌 키워드인 ‘이중성(Duality)’은 부드러움과 강함, 노출과 보호라는 상반된 개념을 통해 감각적으로 표현된 것이 특징. 조형적 접근을 통해 현대인의 감정을 반영한 룩은 실험적이면서도 완성도 높은 스타일링으로 화제를 모았다. 한편, 도쿄 기반 코스튬 브랜드 TARY의 컬렉션은 자연과 문화, 전통과 현대를 잇는 예술적 만남을 주제로 독창적인 미학과 기술이 어우러진 새로운 시선을 제안한다. 자연과 사물에 깃든 영혼이라는 애니미즘 철학 속에서 전통적 일본과 현대적 감각을 조화롭게 녹여낸 디자인이 돋보인다.





세계 유명 예술·디자인 대학 진학을 준비하는 고등학생들의 포트폴리오 제작을 지원해온 브리티시컬럼비아 사립 예술 아카데미, Open Studio가 뉴욕 패션위크 무대에서 그 영향력을 자랑했다. 다섯 명의 학생이 함께한 이번 쇼케이스는 각자의 중국 문화와 전통에서 영감을 받아 주제를 깊이 연구하고 독창적인 패브릭 프린트를 개발했다. 이들이 만든 작품은 Open Studio의 “시간의 흔적(Imprints of Time)” 컬렉션으로 구현됐다.




NAOKO TOSA의 ‘Sound of Ikebana’ 컬렉션은 전통 미학과 첨단 기능을 더해진 재난 상황 속 강인한 회복력을 담아냈다. 고강도 아라미드 섬유 후드 코트와 LED 내장 의류로 실용성과 세련된 디자인을 동시에 선보이며, 패션의 미와 실용성을 아우르는 메시지를 전한다. 컨템포러리 여성복 브랜드 TRIPLEROOT는 시그니처 스타일인 간결하면서도 우아한 실루엣과 뉴트럴 컬러가 어우러졌다. 어스톤 그린부터 차분한 핑크 톤까지 자연스러운 색감이 조화로워 눈길을 끈다. 이뿐 아니라 감각적인 디자인 요소를 가미한 최고급 원단을 적용해 오랜 시간 즐길 수 있는 패션을 선보였다.




Perry Jones의 최신 컬렉션, ‘Cherry Moon Pt. 2’는 달의 여러 위상을 따라 밤의 이야기를 풀어낸 매혹적인 쇼였다. 첫 번째 '달의 출현' 에디션에서는 황제와 여신을 연상시키는 반짝이는 슈트와 고급 소재가 어우러져 강렬한 인상을 남겼고, 이어진 '가족의 유대' 세그먼트는 따뜻한 어스 톤과 전통적인 패턴으로 감성적 깊이를 더했다. 마지막으로 '한밤의 월식'에서는 나이트라이프에서 영감을 받은 세련되고 대담한 룩으로 밤의 신비로움을 극대화했다. YUINOTO는 아티스트 의상, 맞춤 제작 의상, 독창적인 헤드피스와 액세서리까지 제작하는 노토의 환상적이고 극적인 시각을 디자인에 담아낸다. ‘The Garden of Armor’ 컬렉션은 소박하고 군더더기 없는 순수한 꽃에서 출발했으며, 가시 없는 장미가 없듯 여성과 꽃에 내재된 강인함과 섬세함을 한데 엮어냈다.




Dr.MAAYA의 ‘Dr.MAAYA’s HOUSE’는 건축에서 영감을 받은 실험의 무대였다. 곡선을 배제하고 사각형 실루엣과 각진 디자인, 그리고 창문, 지붕, 계단 등 건축 구조를 연상시키는 요소들이 독창적으로 재해석되었다. 네온 컬러가 더해진 룩들은 강렬한 시각적 인상을 남기며, 패션과 건축의 경계를 유쾌하게 허문 오리이만의 실험정신이 돋보였다. YilliaQ의 ‘The Treatment of Soul’은 뒷면에 금속 나사가 장식된 독특한 흰색의 세트를 선보였다. 유의 고향인 내몽골에서 흰색은 자연에서 가장 순수한 색으로 여겨지며 진실과 순수함을 상징한다. 또한, 중국의 소수 민족 중 하나인 만주족에게 흰색은 길조와 행운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문화적 상징성과 감정적 서사를 아우르는 깊이 있는 컬렉션을 완성해 독특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Credit
- 프리랜서 에디터 김미강(미디어랩)
- 사진 GFC 제공
- 디지털 디자이너 오주영
코스모폴리탄 유튜브♥
@cosmo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