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100% 국내 기술 ‘누리호’, 어떤 기업이 참여했을까?
국내 기업들의 피·땀·눈물 담은 누리호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
국내 최대 방산업체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총감독의 역할을 맡았다. 이는 300여 개의 기업이 납품한 제품 조립을 총괄하는 무거운 짐을 짊어진 것이다. 누리호의 총 조립 과정에는 24명의 KAI 엔지니어가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한국항공우주산업은 누리호 1단 연료탱크와 산화제 탱크도 제작했다. 조립 - 한국항공우주산업(KAI)
」「
누리호의 심장이라 할 수 있는 엔진은 한화그룹의 우주사업 계열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맡았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우주발사체 로켓 엔진 공장을 보유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에 장착된 총 6기의 엔진을 납품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특히 누리호 1단에 들어간 75톤 액체로켓 엔진의 경우 발사체가 우주 궤도에 도달하는 동안 고온, 고압, 극저온 등 극한의 조건을 모두 견뎌 내야 해, 제작 시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엔진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우리나라의 첫 번째 우주발사체인 나로호의 발사대를 만들었던 현대중공업은 그 경험을 토대로 누리호 프로젝트에서 발사대 건립을 총괄했다. 현대중공업은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약 4년 6개월에 걸쳐 누리호 전용 제2 발사대를 새로 건립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2단 발사체였던 나로호와 달리 누리호가 규모와 크기가 다른 3단 발사체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발사대 건설 - 현대중공업
」Credit
- 글 최혜리
- 출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공식 인스타그램
코스모폴리탄 유튜브♥
@cosmokorea
이 기사도 흥미로우실 거예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코스모폴리탄의 최신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