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지난 27일 향후 10년간의 건강정책 추진 방향이 담긴 ‘제 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에는 우선 2018년 기준 70.4세인 건강수명을 2030년까지 73.3세로 늘린다는 목표로 정부는 이를 위해 10년 이내에 담뱃값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인 8천원 대 이상으로 올린다는 내용이 담겼다. 하지만 이로 인해 벌써부터 ‘과연 담뱃값 인상이 국민의 건강을 위한 것인가?’. ‘국채 부족하니 세금 더 받아서 충당하려는 것 아닌가’ 등 여론의 반발이 거세지며, 여럿이들의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벌써부터 정부의 담뱃값 인상 계획을 발표한 이후 사재기 징조가 나타나고 있다. 2014년 박근혜 정부 시절 담뱃값 2000원 인상 후에도 사재기 열풍이 있었고, 그 이후에도 담배 판매율은 꾸준히 올랐다. 서울 광진구의 한 슈퍼마켓 주인은 “오후부터 부쩍 담배를 보루로 찾는 손님들이 늘어났다”라며 “인기 담배의 경우 내일 다시 주문을 넣어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한 흡연자들의 반응도 뜨거웠다. “코로나 19 시대에 의지할 것은 담배밖에 없는데 담뱃값마저 오른다니 스트레스를 어떻게 풀어야 할지 모르겠다”라며 “국민건강이 이유라고 하지만 사실은 세수 증대를 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털어놨다. 구의동에서 PC방을 운영중인 이모씨는 “이제 담배 한 대 빌려달라는 사람이 있으면 따귀를 때리고 싶을지도 모르겠다”며 “서민들의 담배 한 대 나눠피며 시름을 날리던 담배 정마저 사라지는 세상이 오는 것 같아서 안타깝다”라고 말했다.
한편 오늘 28일 정부는 담뱃값 인상 추진에 대한 보도에 관하여 “사실이 아니다. 현재 정부는 전혀 고려한 바가 없으며 추진 계획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라며 “복지부의 공식적 답변이 있었음에도 보도가 지속적으로 확산되어 국민 여러분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어 안타깝게 생각한다”라고 말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