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아니 당장 지구가 멸망하길 바라는 사람들 어디 있나요? || 코스모폴리탄코리아 (COSMOPOLITAN KOREA)
Life

내일, 아니 당장 지구가 멸망하길 바라는 사람들 어디 있나요?

종말론은 누군가에겐 종교지만, 대부분의 사람에겐 엔터테인먼트다. 그리고 누군가에게는 소망이 되기도 한다.

COSMOPOLITAN BY COSMOPOLITAN 2021.08.11
 

지구는 멸망 안 해요, 멸망은 내가 해요

살면서 속으로 ‘그냥 다 망해버려!’라고 외쳐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우리는 대체로 3가지 이유로 멸망을 꿈꾸는 것 같다. 난 이미 망한 것 같으니 혼자 억울하지 않게 다 같이 눈치껏 망해줬으면 하는 마음에서. 아니면 멸망까지는 아니더라도 물리적·사회적 지각 변동이 있을 만한 사건이 일어나 처음부터 다시 시작했으면 하는 ‘리셋증후군’ 때문에. 혹은 정말 꼭 죽고 싶은 심정인데 “나 죽고 싶어…”라고 하면 듣던 사람이 “야, 왜 그래…” 하며 마지막 남은 아이스크림 한 숟갈을 양보하려 할까 봐. 과학자들에 따르면 그것이 언제가 됐든 멸망은 온다. 다만 지구의 멸망이 아니라 인류의 멸망일 뿐. 엔트로피 법칙에 따르면 존재 자체로 엔트로피를 무한 생성하는 ‘사고체’는 필멸한다(끊임없이 타오르던 항성이 언젠가 폭발해 소멸하는 원리와도 비슷하다).
 
하지만 이 사실은 인간에게 아무런 타격을 입히지 못한다. 우리의 뇌가 그만큼 긴 시간을 시뮬레이션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인간은, 다시 말해 인류라는 종은, 서서히 끓는 비커 속의 개구리와 같다. 죽는지도 모르는 채 서서히 소멸하는. 수사적인 표현이지만 지구는 물리적으로도 도저히 인간이 살 수 없는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는 낮 최고 기온이 섭씨 47.2℃까지 오르는 기현상이 발생해 태평양 연안의 홍합과 조개가 그야말로 볕에 ‘익어’ 죽은 채 무더기로 발견됐다. 극지방의 빙하가 녹는 속도가 임계점을 넘었느냐 아니냐를 두고도 과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지금 추세로 지구온난화가 진행된다면 2030년에는 한반도의 5%가 물에 잠기고 332만 명이 직접적인 침수 피해를 입을 것이라 예측했다. ‘티핑 포인트’란 그런 것이다. 인간의 기술로 손쓸 수 없는 상황. 더 암울한 건 인류가 멸종해가는 와중에도 자본주의는 열일을 할 것이고, 따라서 기존의 체제가 ‘리셋’되거나 새 시대가 열리는 일은 없을 거란 사실이다. 지금도 지구온난화로 더 큰 피해를 입는 건 누적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열대 국가다. 하지만 너무 괴로워할 필요는 없다. 어차피 이 또한 지나갈 테니까. 과학자들이 말하는 ‘생각의 종말’은 1050년 후다. 말도 안 되게 긴 시간 같지만 우주의 시간에 비하면 터무니없이 짧은 찰나다. 〈엔드 오브 타임〉의 저자 브라이언 그린은 상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빅뱅으로 우주가 탄생한 직후에 생명체가 등장하여 아주 잠시 동안 존재의 의미를 생각했다. 그러나 우주는 아무런 관심도 없었고 생명체는 곧바로 분해되어 사라졌다.”

Keyword

Credit

    editor 강보라/ 김예린
    illustrator 정태훈(@CURVESIGN)
    digital designer 김희진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