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ER
연차별 이직, 속 시원하게 풀어보자
20대 직장인의 평균 이직 횟수가 2.1회로 집계됐다.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잡코리아가 지난 9월에 발표한 <이직 경험과 만족도> 설문조사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직장인 2400명의 약 89%가 이직 경험이 1회 이상 있다고 답했다. 특히 20대 직장인의 평균 이직 횟수가 2.1회로 집계되면서 최근 이직 문턱이 비교적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변해가는 채용 트렌드 속 경력직 우대 현상에 대해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이직에 대한 전략을 세워서 도전해 봄 직하다. 모든 연차가 경력직이라고 우대를 받는 것도 아니고, 경력이 많다고 모두 이직에 성공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오늘은 보통 이직에 많이 도전하는 홀수 연차별 이직 플랜에 대해 속 시원하게 이야기해 보자.
<1년차>
그렇다고 1년 차는 이직 시장에서 불리하기만 할까. 절대 아니다. 중고 신입으로 타 회사, 타 업계에 지원할 수 있는 최고의 황금기다. 공격적인 이직 전략을 취해볼 수도, 더 높은 연차들은 소화할 수 없는 리스크를 감수해 볼 수도 있다.
또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무기들이 있다. 바로 ‘시간과 가능성’.
특히 상대적으로 어린 나이에 취업했다면 약간의 공백기마저 허락된다. 재교육이라는 과감한 투자를 통해 회사뿐 아니라 커리어 체인지까지 도전해볼 기회가 있다. 이런 올드루키로서의 매력은 최대 3년 차까지 유효하다.
<3년차>
실제로 필자의 지인 A는 동년배보다 1,2년 정도 빠르게 기획 직무로 한 회사에 입사했다. 규모는 비교적 작은 스타트업 회사였지만, 업계에서는 그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아 승승장구하고 있었다. 하지만 안정적으로 경제활동을 영위하고자 했던 A는 2년 반 만에 퇴사를 결정했다. 학생 때부터 어느 정도 관심 있었던 개발 직군으로 커리어를 바꿔 1년 정도 관련 아카데미에서 교육을 받으면서 재취업 준비에 임했다. 그 결과, 높은 경쟁률을 뚫고 한 대기업에 입사했다. 남들보다 더 힘든 취업 준비 기간을 거쳤지만, 본인의 직업관 확립 후 스스로 찾아온 회사이기에 만족감이 두 배라고 얘기한다.
3년 차까지는 이런 무한한 ‘가능성’이라는 무기를 손에 쥐고 이직 시장에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경력직 이직에도 당연히 도전할 수 있다. 하지만, 3년 차는 특정 업무에 익숙해지는 ‘최소한’의 시기라고 여겨진다. 그러니 이직 시장에 진출해볼 수 있는 최소한의 직무 경험을 갖췄다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이직 도전 경험에 의의를 두고, 실패하더라도 절대 좌절하지 말자.
<5년차>
하지만, 5년 차는 이직하기에 최적의 시기이자, 이직 시장에서 기업들이 가장 선호하는 경력대다. 업무 전문성, 회사에 대한 로열티, 업무에 대한 이해도와 책임감 모든 것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무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이제 나의 직무 안에서 이제는 기업을 중점적으로 파악하면서 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 기업이 제시하는 연봉, 워라밸은 기본이고 그 이상의 성장 가능성을 살펴보자. 본인의 성장 디딤돌이 되어줄 수 있는 회사인지 잘 판단해 보라는 이야기다.
이직 시장에서 5년 차에 대한 수요와 공급 모두 많은 상황이니, 급한 마음에 적당한 조건을 제시하는 회사로의 이직을 결정하는 것보다 조금 여유를 가지는 것이 좋겠다. 현재 재직 중인 회사에서 5년 뒤의 나의 모습과 새로 이직한 회사에서 5년 뒤 나의 모습을 먼저 비교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추후 나의 업무가 현재 재직 중인 회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면 재직하면서 그 전문성을 좀 더 키워서 이직의 스케일을 키우는 것도 고려 사항이다.
<7년차>
Credit
- Freelance Editor 장은지
- Photo Unsplash
코스모폴리탄 유튜브♥
@cosmokorea
이 기사도 흥미로우실 거예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코스모폴리탄의 최신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