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보다 환경을 생각하는 패션 브랜드 12 || 코스모폴리탄코리아 (COSMOPOLITAN KOREA)
Fashion

누구보다 환경을 생각하는 패션 브랜드 12

‘지속 가능한’이란 단어가 패션계를 정화하고 있다. 다양한 관점의 위기의식이 만들어낸, 패션 브랜드들의 지구와 생명을 위한 다양한 활동.

COSMOPOLITAN BY COSMOPOLITAN 2019.11.12
청소년 환경 운동가 그레타 툰베리.Tiffany & Co. ▶ 2017년 론칭한 티파니의 ‘Tiffany Save the Wild’는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코끼리·코뿔소·사자 보호를 지원하기 위한 컬렉션이다. 수익금 전체가 ‘Wildlife Conservation Network’에 기부된다.Stella McCartney ▶ ‘윤리적이며 지속 가능한 패션’의 상징, 스텔라 맥카트니의 2019 F/W 캠페인. 슈퍼모델 앰버 발레타와 환경 단체 ‘Extinction Rebellion’이 함께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행동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전한다.Prada ▶ 프라다가 바다, 낚시 그물, 방직용 섬유 폐기물에서 수집한 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재생 소재, 에코닐을 사용한 컬렉션, ‘리나일론(Re-Nylon)’을 선보인다. 또한 2021년 말까지 브랜드가 사용하는 모든 나일론을 에코닐로 대체할 예정.H&M ▶ 지난 2012년 론칭한 ‘H&M Conscious Exclusive’ 컬렉션은 재활용 캐시미어, 울, 폴리에스테르, 은과 같은 재생 소재 그리고 오가닉 헴프와 코튼, 실크와 같은 친환경적인 소재로 만들어 진다.Patagonia ▶ 지속적으로 환경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쳐온 파타고니아의 캠페인. 기후변화의 위기를 알리고. 문제 해결을 촉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번 캠페인과 더불어 시위와 행진, 서명 운동과 같은 보다 적극적인 활동까지 진행하고 있다.Converse ▶ 컨버스는 빈티지 리테일러 ‘비욘드 레트로’와의 협력을 통해 공급받은 대량의 구제 데님으로 재생 소재를 개발해 스니커즈에 이용했다. 이전 프로젝트에서도 재활용 플라스틱을 이용한 캔버스 소재를 선보이기도.Diesel x Coca-Cola ▶ 코카콜라의 페트병이 디젤의 데님 아이템으로 부활했다. Helen Kaminski ▶ 고급 모자에 전통적으로 사용돼온 퍼 소재 대신, 재사용이 가능한 메리노 울 펠트를 이용해 새로운 컬렉션을 론칭한 헬렌 카민스키.Polo Ralph Lauren ▶ 재활용 플라스틱에서 추출한 원단으로 만들어진 ‘Earth Polo’. 랄프 로렌은 2025년까지 매립지 및 바다에서 1억7천만 개의 플라스틱 병을 없애는 데 힘쓸 것임을 약속했다. 향후 모든 플라스틱 섬유를 재활용 섬유로 대체할 계획.Zara ▶ 자라는 비영리단체 ‘Water.org’와 협업해 ‘Care for Water’ 캡슐 컬렉션을 선보였다. 모든 제품은 친환경 농약과 비료만으로 재배된 100% 유기농 코튼으로 제작했다. 또한 폐수 무방류 공장에서 생산됐다고. 용수의 회수 및 재활용을 통해 물의 사용을 최소화했다. Max Mara ▶ 막스마라가 2019 그린 카펫 패션 어워즈에서 ‘지속 가능성 인식상’을 수상했다. 캐멀 코트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버려지는 낙타털 소재를 업사이클링한 보온재, 캐멀룩스(Cameluxe) 개발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 모델 두첸 크로스가 캐멀룩스 룩을 입고 시상대에 올랐다.
“이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이 위에 올라와 있으면 안 됩니다. 저는 대서양 건너편 나라에 있는 학교로 돌아가야 합니다. 당신들은 헛된 말로 저의 꿈과 어린 시절을 빼앗아갔습니다.” 지난 9월 23일, 뉴욕 UN 본부의 단상에서 앳된 얼굴의 소녀가 울먹이며 연설을 시작했다. 그녀는 스웨덴 출신의 청소년 환경 운동가 그레타 툰베리. 16살의 이 어린 소녀가 울부짖으며 지구의 환경을 걱정하고, 기성세대를 꾸짖는 모습을 보며 에디터는 이런 생각을 했다. ‘이 어린아이가 이렇게 절규할 정도로 지구가 병들었구나. 나는 그동안 어떤 행동을 해왔지?’
지금 패션계는 ‘지속 가능한’ 것들에 대한 치열한 고민에 빠져 있다. 친환경 DNA를 지닌 브랜드뿐만 아니라 패션홀릭들을 위한 럭셔리 패션 하우스들까지, 어떻게 하면 인류와 환경을 위한 길을 걸을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를 끊임없이 진행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모피를 비롯한 비윤리적인 활동을 일삼고, 수많은 폐기물을 쏟아내는 환경 파괴의 주체로 패션계를 지목해왔다. 그런데 최근 패션계가 달라지고 있다. 퍼 프리(Fur-free)와 업사이클링에 관한 패션 뉴스로 가득 채워진 에디터의 메일함만 봐도 알 수 있다.
1994년부터 이미 퍼 사용을 중지한 캘빈클라인과 2000년대의 랄프 로렌, 타미 힐피거 그리고 최근의 구찌, 샤넬, 버버리, 베르사체, 코치 그리고 프라다까지. 탐스러운 퍼 아이템을 런웨이에 올리던 수많은 패션 하우스가 퍼 프리를 선언했다. 패션협회 차원의 범국가적인 퍼 프리도 이어졌다. 작년 9월, 영국 패션협회는 앞으로 런던 패션 위크에서 퍼 소재를 볼 수 없을 거란 공식 성명을 발표했다. 여기에 네타포르테와 파페치와 같은 거대 리테일 업체도 퍼 아이템을 판매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놓으며 이 열기에 가세했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동물에 대한 윤리적인 행동을 위한 퍼 프리가 오히려 심각한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지적한다. 에코 퍼가 화학 성분으로 만들어졌고, 저렴한 가격 때문에 과도한 소비가 발생될 거란 우려 때문이다.
퍼 프리와 더불어 패션계가 집중하는 것은 바로 ‘업사이클링’이다. 버려진 소재를 재활용하고, 환경을 해치지 않는 자연 소재를 사용한 옷과 액세서리들. 여기에 생산 과정, 나아가 폐기 이후의 활용까지도 고려하는 친환경적인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패스트 패션의 상징, 자라의 모기업 인디텍스마저 2025년부터 100% 지속 가능한 소재만 사용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할 정도. 또한 지속 가능한 패션에 기업의 미래가 달려 있다고 보는 패션 그룹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예는 스텔라 맥카트니를 영입한 LVMH와 네타포르테. 스텔라 맥카트니 레이블을 그룹 안으로 인수하는 동시에, 스텔라를 그룹의 ‘지속 가능성 비전’에 대한 특별 고문으로 임명했다. 네타포르테는 ‘넷 서스테인(Net Sustain)’ 플랫폼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생산된 제품을 소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패션계의 자정적 노력과 더불어 우리의 관심과 적극적인 자세도 필요하다. 일회용 컵 대신 텀블러를 사용하고 종이 빨대를 요구하듯, 친환경적인 소재로 만들어진 패션 아이템을 찾고 또 선택하는 것이다. “우리의 작은 실천이 지구를 바꾼다.” 상투적인 말일 수 있겠지만 이는 명백한 팩트다. 환경오염을 유발한다는 에코 퍼에 대한 우려 역시 마찬가지. 재활용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만든 퍼 제품이 선보이는 등 나름대로의 대안이 속속 마련되고 있다. 환경을 위해선 소비 자체를 줄이는 것이 최선이겠지만, 보다 나은 방향으로의 작은 걸음이 큰 뜻을 이룰 수 있는 숭고한 ‘첫 발자국’이 될 거란 사실만은 잊지 말아야 한다. 스텔라 맥카트니의 2019 F/W 캠페인 영상에서 영국의 환경 주의자, 제인 구달이 낭송한 조너선 새프론 포어의 시에서도 우리는 답을 얻을 수 있다. “우리는 지구에서 태어나는 것을 선택하지는 않았지만, 어떻게 살아야 할지 결정해야 한다. 지구에서 오랜 시간을 보냈고, 더 좋게 변화시킬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 이곳만이 우리의 집이다.”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