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이엇게임즈 한국 오피스 공간 디자인을 맡았다. 롤 파크 공용 공간의 휴지통부터 LCK 경기 무대와 스튜디오까지 그녀의 손을 거쳤다. 사옥과 롤 파크 공간 변경 이슈에 대응해 제안 및 공사를 진행하고, 그 밖에 팝업 스토어나 이벤트를 기획할 때 공간 활용을 검토하고 컨설팅한다. 진달래 (공간 디자이너)
」
올해로 14년 차 공간 디자이너로 라이엇게임즈가 다섯 번째 직장이에요. 인테리어 회사에서 오피스 공간 설계로 시작해, 네이버 SPX팀에서 ‘그린팩토리’ 사옥 프로젝트, LG서브원 FM 사업부에서 오피스 공간 컨설팅, NHN엔터테인먼트에서 데이터센터+주차타워 건축 프로젝트를 진행했어요. 2017년 라이엇게임즈에 합류해 사옥 이전 프로젝트와 롤 파크 구축 프로젝트의 공간 디자인 디렉팅을 담당했죠. 플레이어로서는 올해 목표인 골드 승급을 위해 매일 밤 랭크를 돌리고 있어요.
라이엇게임즈만의 독특한 문화가 있어요?
라이엇게임즈는 동료끼리 ‘default to trust‘ 마인드를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본인이 맡은 일은 책임감을 가지고 해 낸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에 업무 시간에도 게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분위기죠. 무제한 유급 휴가 제도도 마찬가지예요. 일할 때 확실히 맡은 바 책임을 다한다면, 회사는 믿고 지원해요. 이런 신뢰는 직원들이 맡은 업무에 대해 주인 의식과 책임감을 갖고 일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죠. 가끔 주위에서 게임 회사에 다니면 게임 많이 하냐는 질문을 자주 하는데, 직원 모두 게임을 많이 해요. 라이엇게임즈는 <리그 오브 레전드>(이하
LA 본사에도 ‘라이엇’ PC방이 있다고요?
한국 PC방 특유의 먹거리 문화가 외국인들 눈에는 신기하고 재밌나 봐요. 실제로 라이엇게임즈의 CEO 마크 메릴이
게임을 화면으로 보는 것과 직관하는 건 감흥이 다를 것 같아요. 아레나를 설계할 때 관객의 니즈를 고려한 부분은 뭐예요?
롤 파크는 LCK 시즌 경기를 위한 복합 문화 시설이에요. 400석 규모의 전용 경기장을 비롯해 카페, 전시 공간, 팬미팅 공간,
롤 파크는 종각역 그랑서울 내에 들어섰어요. 임대료 포함 1천억이 넘는 예산을 들였는데, 굳이 이렇게 비싼 지역에 롤 파크를 개장한 이유는 뭐예요?
편리한 교통과 접근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했어요. 직관하러 오는 플레이어의 대부분은 중·고등학생이고,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든요. 아무리 경기장이 크고 볼거리, 누릴 거리가 많더라도 교통이 불편하면 찾기 어렵잖아요. 경기가 늦어지면 밤 12시 넘어 끝날 때도 있는데, 교통편이 없으면 안 되니까요. 롤 파크를 종각에 마련한 가장 큰 이유는 팬들이에요.
롤 파크는 게임에서 파생된 공간이라는 특수성이 있어요. 게임의 여러 가지 아이덴티티를 반영했을 텐데, 공간을 디자인하며 가장 재밌었던 부분은 뭐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