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독에서 벗어나는 법 || 코스모폴리탄코리아 (COSMOPOLITAN KOREA)
Beauty

중독에서 벗어나는 법

언제까지고 약물중독이 남의 일이 될 수는 없다는 사실을 지난 몇 달간 일련의 사건들로 알게 됐다. 영화나 미드에서만 보던 약물중독이 생각보다 심각한 현실이라는 사실과 그 중독에서 벗어나려면 얼마나 지난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코스모가 살펴봤다.

COSMOPOLITAN BY COSMOPOLITAN 2019.09.14

재활에 성공하라!

시설에 들어오는 것까지 성공한 당신, 이제부터 시작이다.
 
규칙을 제대로 따라라
‘잠옷을 입은 채 돌아다니지 않는다’ 같은 복장 규제와 군대처럼 엄격한 기상 시각을 지키자. 샌프란시스코의 임상 심리학자 제니퍼 페르난데즈 박사는 “당신의 하루가 아주 체계적으로 변할 거예요”라고 말한다. 한편, 연애와 썸을 금지하는 규칙은 조금 지나치게 여겨질지도 모른다. 하지만 여기에 불만을 제기하지는 말자. 어쨌든 당신은 연애가 아닌 스스로에게 집중하기 위해 이곳을 찾아왔으니 말이다.
 
스마트폰을 멀리하라
‘캐런 치료 센터’의 여성 서비스팀 소속 시니어 임상 디렉터인 에린 굿하트는 “재활원에 머무르는 동안에는 자신에게만 투자해야 합니다”라고 말한다. 날마다 인스타 스토리를 넘겨보면서 자신의 회복에 집중하기는 어렵다. 대다수 시설에서는 급한 전달 사항이 생길 경우 즉각 당신에게 알려줄 것이다. 또 중요한 일이 생겨 전화를 해야 할 경우 이를 위한 별도의 시간을 줄 수도 있다.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줘라
재활 시설의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수많은 단체 치료다. 솔직히 말해 다른 사람들도 약에 취한 상태로 친구의 생일 파티를 망치거나 부모님의 돈을 훔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안다는 건 당신의 수치심을 덜어내는 데 큰 효과를 발휘한다. 8개월째 단약 중인 30세 헤어스타일리스트 캐롤라인의 말이다. “제가 무언가를 고백하면 다른 몇몇 여자들도 ‘오, 저도 그런 적 있어요!’라고 말하곤 했어요.”
 
끈질기게 버텨라
펜실베이니아 데번의 ‘미국 회복 센터’ 소속 임상 디렉터인 루크 잉글리시는 대부분의 환자들이 처음으로 시설에서 벗어나고 싶은 충동을 느끼는 때가 디톡스 직후라고 말한다. 이때 신체에서 약물 성분이 다 빠져나가면 당신은 힘든 부분이 끝났다고 착각하게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정작 2주가 지나면 많은 환자들이 가만히 있지 못하고 지루함을 느끼거나 지친다고 잉글리시는 말한다. 이러한 감정을 미리 예상하고 그때가 오면 참고 견디자.
 
가능하다면 오래 머물러라
처음에는 28일, 60일, 혹은 90일이 긴 시간으로 느껴질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중에는 결국 기간을 연장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 가능성이 높다. 적어도 코스모가 취재한 많은 여성들이 그랬던 것처럼 말이다. ‘캐런 치료 센터’의 비즈니스 개발 및 사례 관리팀 이사인 켈리 그랜트는 기간 연장을 원할 경우, 당신의 치료 담당 직원들이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한다.
 

 

단약을 지속하라!

Don’t 약물 복용자들과 외출하지 마라
혹은 예전에 놀았던 장소는 가지 말자. 중독 치료 상담사이자 공인 정신 치료사인 바네사 E. 포드는 친구들에게 “펍이나 바 대신에 카페에서 만날 수 있어?”라고 물어보길 제안한다. 또 모든 사람이 술에 취해 찍은 사진을 포스팅하는 주말에는 맨정신인 친구에게 전화해 그녀와 건전한 주말을 보낼 수 있는 계획을 짜보자.
Do 당신의 우정을 재평가해라
주변 사람들에 대한 객관적인 성찰이 필요한 시기다. 당신의 절친이 이따금씩 술 한잔하는 걸 좋아한다고 해서 그 자리를 피하기 위해 잠수까지 탈 필요는 없다. 하지만 어떤 특정한 것에 대해 중독 증상이 있는 친구라거나 단약을 위한 당신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지지해줄 수 없는 사람이라면 연락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Don’t 치료 약을 건너뛰지 마라
약물 치료를 병행할 경우, 정해진 시간과 방법을 반드시 지키도록 하자. 마약성 진통제 오피오이드 중독에 대한 약물 치료(MAT)는 당신이 온전히 회복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도 있다고 한다. 담당 의사와 상담해 약물 치료를 진행할 수 있는지, 기간은 얼마나 될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상담해보자.
Do 약물 치료 외 다른 방법도 준비해라
약물 치료 외에도 중독을 이겨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재활 센터를 찾아 전문가와 상담하거나 자신이 몸담고 있는 시설을 통해 외래 진료 프로그램, 일대일 심리 치료, 사회 복귀 훈련 시설, 재활 숙소, 혹은 AA/NA 미팅 등에 대한 정보를 얻어보자. 그리고 이를 통해 단약을 지속하려고 노력하자.
 
Don’t 새로운 관계를 서둘러 시작하지 마라
많은 치료 프로그램에서는 단약을 한 후 1년 동안 데이트를 하지 말라고 권고한다. 왜냐하면 우선 지금은 단약에 집중할 시기이고, 데이트는 오히려 불안감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포드는 “가끔 새로운 사람을 만날 경우, 그 관계가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어요”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를 버텨내기 위해 약물을 다시 복용할 위험이 있죠.”
Do 단약 중이라는 사실을 알려라
만약 당신이 데이트를 하게 된다면 당신이 금주 또는 단약 중이라는 사실을 상대방에게도 알리자. 2년 이상 단약 중인 35세 케이트는 “누군가를 만나려고 한다면 당신이 회복 단계에 있다는 사실을 상대방도 이해할 수 있어야 해요. 그 전에 당신의 상태에 대해 이해를 구하는 게 먼저겠죠”라고 말한다.

Keyword

Credit

    Write Kiera Carter/Kaitlin Menza/Andrea Stanley
    Freelance Editor 박수진
    Photo Peter Hapak
    Design 조예슬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