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이디 보치 박사는 그가 일부러 모호한 문장을 써서 당신의 호기심을 자극해 메시지를 확인하도록 유도한다고 말한다. 한편으로는 더 나은 말머리를 적지 못하는 이유가 그가 자신의 감정에 확신이 없기 때문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이 모든 행동이 오로지 당신만을 위한 것은 아닐 수도 있다는 뜻이다.
2 우리 못 본 지 제법 오래됐지?
→친절하게 다시 한번 알려주자면 10주밖에 안 됐다.
3 내가 정말 나쁜 놈이었지.
→당신이 마지막으로 그를 지칭했던 단어를 그대로 베껴 쓰다니! 가만히 생각해보면 아주 영악한 태도다.
4 너에 대한 마음이 커지는 게 두려웠어.
→이건 누가 봐도 변명 아닌가? 두려움이란 단어의 뜻은 제대로 알고 쓰는 걸까?
5 날 용서해달라는 뜻은 아니야.
→이건 대놓고 용서해달라는 말이나 다름없다.
6 나도 그러고 싶었어. 그 당시엔 깨닫지 못했지.
→그는 자기 부모님에게도 당신을 소개했고, 두 사람은 몇 달 동안 눈떠서 잠들기 전까지 톡을 나눴다. 이런 말은 설득력이 하나도 없다.
7 이 부분에 대해서는 너랑 제대로 된 이야기를 나누지 못한 것 같아 아직도 후회돼.
→세이디 보치 박사는 그의 전반적인 행동들을 생각해보라고 말한다. 만약 그가 종종 수상쩍거나 모순되는 행동을 했다면, 이는 그의 감정이 일시적인 것이고 진짜 후회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8 널 다시 만난다면 다신 잠수 타지 않을게.
→그가 진심인지 알고 싶은가? 세이디 보치 박사는 그가 다른 사람들에게도 자신이 저지른 잘못에 대해 책임지고 보상하는지 알아보라고 말한다. 그저 지금 당장 당신이 그리워 지키지도 못할 약속을 하는 게 아니라 실제로 자신이 상처 준 이들에게 어떻게 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단, 이 방법은 그의 주변 사람에 대한 데이터가 당신에게 있어야 하겠지?
9 내가 좋아한다고 말한 것도 맞고, 그게 내 진심이었어.
→급작스러운 감정의 변화는 그가 당신에게 마음은 있지만 그것을 명확히 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실을 의미할 수도 있다고 세이디 보치 박사는 말한다. 그렇다고 해서 당신이 여기에 반드시 응할 필요는 없다.
10 다시 한번 말하지만 그동안 많이 반성했고 내가 한 행동에 책임지고 보상하고 싶어.
→말하자면 자신은 현재 싱글이고, 당신이 생각하는 그것에 굶주렸다는 뜻이다. 2016년의 한 연구 결과 다른 사람보다 우울하거나 어두운 성격을 가진 이들은 현실적인 혹은 성적인 이유로 예전 연인과 친구로 남길 원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11 (요즘 러닝은 잘하고 있니? 여전히 10km씩 달리는 거야?)
→편한 친구처럼 대하는 이런 멘트는 당신에게 이 남자와 있을 때 좋았던 순간을 떠올리게 할 수도 있다. 사람들은 종종 떠나간 상대를 지나치게 미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니 이런 문구를 읽을 땐 더욱 조심하자!
<이거 하나면 상황 종료! 모든 상황에 써먹을 수 있는 천재적인 답변>
“사과는 잘 받을게. 잘 지내고 있다니 다행이야. 나도 잘 지내.”
→그냥 대놓고 문자를 씹는 것보다 이렇게 답장을 남기는 것이 좀 더 정중하면서 자연스럽게 대화를 중단할 수 있는 방법이다. 만약 상대방이 여전히 눈치채지 못하고 대화를 이어가려고 한다면 “미안하지만 안 될 것 같아. 그리고 앞으로 잘 살길 바라”라고 대놓고 말하자. 그런 다음 과감하게 차단해 그 어떤 미련의 싹을 잘라버리는 거다!